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책 소개

책 소개신간 도서

신간 도서



논어, 철인은 시들고 마는가?

  • 저자이름유문상
  • 출 간 일2025-06-30
  • 출판사명도서출판 생각나눔
  • 도서분류동양철학
  • ISBN번호979-11-7048-887-3(03150)
구매하기

책 소개

우리는 나 자신을 성찰하거나 세상을 경륜하려 할 때, 고전을 자주 찾는다. 그것은 고전 속에 보편적으로 지향해야 할 인류의 가치들이 제시되어 있고 삶의 지혜가 있기 때문이다.

고전 중에서도 『논어』는 인류의 스승인 공자의 정치, 교육, 경제 등의 모든 사상이 망라되어 있다. 그런데 『논어』는 문장이 간략하고 함축적이며, 또한 중의적인 한자의 사용으로 인하여 그 본래의 의미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후학들에 의하여 해설된 『논어』는 보는 시각에 따라 진보와 보수를 넘나들고 있다.
또한 『논어』의 편명 구성은 일정한 논리나 시대순으로 배열된 것이 아니어서 『논어』를 흥미를 갖고 읽거나, 체계적으로 이해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이 『논어』 읽기를 시도했다가 도중에 포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책은 공자의 사상을 명확한 고증과 『논어』 전편에 흐르는 맥락에 근거하여 『논어』의 본래의 의미를 구현하고자 했다. 또 『논어』의 체계적 이해와 흥미를 제고하기 위해 시대와 주제에 따라 서술하되 역사적 상황과 결부하여 서술하는 스토리 텔링 기법을 도입했다.
저자는 수년 전에 『공자뎐, 논어는 이것이다』를 출간했다. 이 책은 『논어』 입문서의 성격을 띠는 것으로서 인용된 『논어』 원문도 소략하여 미진한 바가 있었다. 그래서 『논어』 전체의 내용을 아우르면서 정치, 교육, 경제 등에 관한 공자의 사유를 흥미 있고, 심도 있게 다룰 해설서를 출간하기를 줄곧 소망하며 틈틈이 연구를 진행했다. 수년의 연구와 탈고를 거듭하다가 급기야 이번에 『논어, 철인은 시들고 마는가?』를 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은 『논어』 대부분 원문이 망라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분량도 만만찮다. 이것은 『논어』의 내용을 빠짐없이 독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해야 한다는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유학 사상의 시원과 관련 사상까지 포괄하여 논의했다. 이럼으로써 독자들은 『논어』의 시대적 배경과 사유 체계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여러 역사서와 고전들을 면밀히 검토해 공자의 행적과 사상을 씨실과 날실처럼 엮은 스토리 텔링 기법을 도입했다. 따라서 독자들에겐 소설책 읽듯이 재미있는 고전 읽기가 될 것이다.
셋째, 공자 사상은 학자의 관점에 따라 서로 상충하는 부분이 많다. 여기서는 『논어』를 해설할 때 철저한 고증(考証)과 전체적 맥락에 의거하여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했다.
넷째, 『논어』에는 숱한 숙어, 고사성어, 명언이 나온다. 이러한 숙어, 고사성어, 명언은 음훈을 그대로 제시하여 고전 읽기의 생동감을 부여하려 했다.
다섯째,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하여 본문에 원문을 그대로 제시하기도 했으며, 그렇지 않은 것은 각주에 수록해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사람마다 가치관과 주장이 서로 달라 극심한 혼란과 갈등이 노정되고 있다. 이러한 혼란과 갈등은 기본적 덕성보다는 경쟁과 결과를 중시하는 교육 환경과 보편적 가치가 아닌 학연, 지연, 종교에 따른 이익과 편향적 가치를 추구하는 정치, 사회적 환경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다.
『논어』는 자신에 대한 기본적 성찰을 바탕으로 우리 가정과 사회, 직장, 그리고 교육과 정치 등에 관한 혜안과 방향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지은이는 이 책을 통하여 독자들이 『논어』에 제시된 공자와 선인들의 사유를 흥미롭게 살펴보고, 나아가 더불어 잘 살고, 편안한 우리 사회를 만드는데 고민하는 계기가 되길 진심으로 바랄 뿐이다.
나름 의욕을 가지고 작업을 했으나 저자의 불민한 역량으로 부족한 점도 많을 것이다. 내용 중에 혹여 오류가 있거나 부족한 점이 있으면 추후 보완할 것을 약속드린다.
이 책이 나온 것은 두 은사님의 은혜 덕분이다. 대학 시절부터 늘 격려해주며 지켜봐 주신 김태영 교수님, 그리고 청유서당에서 동양고전에 눈을 뜨게 한 이종락 훈장님, 두 분은 고인(故人)이 되셨지만 두 은사님의 가르침과 사랑은 오래도록 잊지 못할 것이다.
끝으로 저세상에 계신 그리운 어머님과 재순에게 삼가 이 책을 바친다.

2025년 6월

도우(祷雨) 유문상 

저자 소개

 

도우(祷雨) 유문상

 

인문고전학자이다. 충북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윤리교육)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충남 공주의 유학자 이종락 훈장님으로부터 중국 고전을 두루 공부했다. 세종국제고를 거쳐 한국교원대, 한국관광대, 광주여대에서 강의했다.
 

저서로 『유가의 길을 묻노니』, 『공자뎐, 논어는 이것이다』, 『맹자, 칼과 정치는 다름이 없다』, 『추구집(推句集) 교본』이 있으며, 주요 논문은 『다산 역학의 특성과 윤리적 함의』, 『다산의 인성 및 교육론』, 『다산 정약용의 괘주론에 관한 일 연구』, 『운법에 의한 주역해석 고찰』, 『정서교육의 범주와 유가 동학의 정서교육방법 고찰』 등이 있다. 

  • 근무시간: 08:00 ~ 17:00 (월~금)
  • 상담시간 : 08:00 ~ 17:00
      (평일, 점심시간 12:30 ~ 13:30)
  • 이메일: bookmain@think-book.com

569-910027-10104

479001-01-281043

예금주 : 이기성(생각나눔)